X
하천 낚시. 기사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. [연합뉴스 자료사진]

5대강 유역 주민 100명 중 5명가량이 간흡충, 장흡충 등 장내기생충에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.

3일 질병관리청은 지난 3∼10월 한강, 낙동강, 금강, 섬진강, 영산강 주변 39개 시군 주민 2만6천958명을 대상으로 장내기생충 11종 감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감염률이 4.5%로 나타났다고 밝혔다.

전년도 3.7%보다는 0.8%포인트 늘었지만, 10%를 웃돌던 2010년 무렵과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다.

기생충 중에서도 담관암을 유발하는 발암성 병원체인 간흡충의 경우 감염률이 2.3%로 역시 감소 추세지만 작년보단 0.4%포인트 늘었다.

장흡충 감염률은 1.9%, 편충 0.2%, 참굴큰입흡충은 0.1%였다.

간흡충, 장흡충 등은 식품 매개 기생충이다. 주로 자연산 민물고기 생식으로 감염된다.

X

질병청과 지방자치단체가 2005년부터 강 유역 주민을 대상으로 식습관 개선 홍보 등 관리사업을 진행해 전반적으로 기생충 감염률이 낮아지긴 했으나 여전히 지역간 격차는 있다.

50대 남성(9.8%)과 60대 남성(8.9%)의 감염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.

올해 조사에서도 하동군(12.6%), 구례군(11.7%), 안동시(10.3%) 등 섬진강, 낙동강 유역 일부 지역에선 장내기생충 감염률이 여전히 10%대였다.

전체적으로 섬진강 유역의 감염률은 6.3%, 낙동강 유역 3.9%, 한강과 영산강 유역 각각 2.3%, 금강 유역 0.9%로 조사됐다.

지영미 질병청장은 "일부 감염률이 높은 지역 주민을 상대로 전수 조사를 하는 등 지자체와 협력해 감염을 예방하고 감시체계를 더욱 강화하겠다"고 말했다.

한편 질병청은 3∼4일 경북 경주에서 장내기생충 조사사업 평가대회를 열고 올해 실태조사 결과를 공유하면서 전문가 등과 함께 관리 발전방안을 논의한다.